'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3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66

더덕 효능과 부작용 [더덕차 효능] 더덕이란? 주로 산에 자생하는 더덕은 뿌리가 도라지나 인삼의 뿌리와 비슷해 헷갈리기도 하는 식물로 초롱꽃과 에 속한 다년생 덩굴 식물로 학명은 Codonopsis lanceolata입니다. 산에서 자라는 인삼과 비슷하게 생겨서 사람들이 종종 산삼으로 착각하는데 산삼은 잎이 5장이지만, 더덕은 잎이 4장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더덕은 10년 이상 자연에서 자랐을 경우 인삼보다 그 효능가 가치가 높다고 합니다. 더덕의 대표 성분인 '사포닌' 성분으로 인해 많이 찾곤 하는데요. 이 사포닌 성분은 콜레스테롤과 지방을 흡착하고 배설하는 성분으로 건강에 유익한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조선시대 광해군도 이를 매우 좋아했다는 기록이 있는데요. 더덕의 효능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더덕 효능 효능 1. 기관.. 2021. 5. 14.
감초 효능 및 부작용 [감초 추출물] 감초란? 감초는 '약방의 감초'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약재들을 조화롭게 하는 감초는 한방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약재로 꼽힙니다. 감초는 여러 방면으로 매우 다양하게 유용하게 사용되어 한의학에서는 약효과 많은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초는 영어로 'Liquorice'라고 부르는데 이는 '달콤한 뿌리'라는 뜻이 있으며, 실제 고대 그리스에서는 감초를 사탕이라고 말해야 할지 고민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약재와 사탕 사이에서 갈등했다고 전해집니다.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에 감초는 '온갖 약의 독을 풀어주고, 모든 약을 조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여 국로(國老)라 칭한다' 고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여러 약의 성질을 조정하고, 조화롭게 하는 감초의 효능이 '어진 재상'의 역할과 비슷하다고 해서 '국로' 즉, .. 2021. 5. 14.
엉겅퀴 효능 [엉겅퀴 뿌리 효능] 엉겅퀴란? 엉겅퀴는 쌍떡잎식물로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가시나물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엉겅퀴는 들이나 산의 양지바른 곳에 주로 자생하는 약초입니다. 엉겅퀴와 유사한 식물로는 곤드레가 있는데, 엉겅퀴에는 가시가 있지만 곤드레에는 가시가 없는 것이 차이점인데요. 어린순은 나물로 주로 섭취하며 줄기와 잎, 뿌리는 건조시킨이후에 약재로 많이 쓰입니다. 엉겅퀴는 뛰어난 약용성분으로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하는 효능들이 매우 다양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엉겅퀴의 효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엉겅퀴 효능 [엉겅퀴 뿌리효능] 효능 1. 항암작용 엉겅퀴에는 '실리비닌'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실리비닌 성분은 암세포 억제작용을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또한, 폐암 세포.. 2021. 5. 13.
황칠나무 효능 [황칠나무잎 효능] 황칠나무란? 황칠나무는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노란 옻나무, 풍 하이, 압 각목, 입각판, 압장시, 금계지 등으로 불립니다. 황칠나무의 높이는 약 15m 정도 자라며, 수피는 회색으로 껍질눈이 있으며 노목은 가늘고 얕게 세로로 갈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황칠나무는 산삼 나무로도 불리며 원산지는 한국으로 전라도와 경상남도 그리고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으며 일본 혼슈 남부와 오키나와까지 분포하고 있습니다. 황칠나무의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과 비슷한 타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잎의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어린 나무의 경우 3~5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황록색으로 모여 달리고, 열매는 10월에서 초록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며 익습니다. 나무껍질에 상처가 나면 노란색의 액이 나오는데 이를 '황칠'이.. 2021. 5. 13.
우슬 효능 [우슬초 우슬뿌리 효능] 우슬이란? 우슬은 들과 산, 길가에 흔히 볼 수 있는 다양한 곳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늦가을 줄기가 마른 후 채취해 뿌리 꼭지는 잘라버리고 뿌리만 사용하거나 줄기까지 모두 사용하기도 하는 식물입니다. 우슬은 비름과 여러해살이 초본 식물인 쇠무릎의 뿌리를 말하는데요. 우슬의 줄기는 소의 무릎과 닮아서 우슬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우슬의 맛은 시고 쓰며 줄기와 잎에는 풍습성 관절염에 좋은 효과를 보이고 뿌리와 함께 이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우슬은 간화가 위로 치솟아 생기는 어지럼증이나 사구체 여과율을 높여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혈압을 낮추는 민간약으로도 많이 쓰여 왔습니다. 맛은 약산 시며, 평한 성질을 지니고 있는 우슬은 사포닌을 비롯한 칼슘 등의 무기질 성분들이 풍부한 식물입니다... 2021. 5. 13.
구기자 효능 [구기자 차 끓이는 법] 불로장생의 명약 구기자 세계적인 스타 마돈나가 항상 매일매일 먹어 유명해진 식품은 바로 구기자인데요. 구기자는 예로부터 하수오, 인삼과 함께 3대 명약으로 불리고 있을 정도로 다양한 효능이 있습니다. 또한, 중국의 진나라 진시황이 사랑한 약초로 "불로초"라고도 불리며 불로장생의 명약이라고 불렸습니다. 한의학에서는 구기자는 평한 성질로 독성이 없어 누구나 쉽고 편하게 섭취해도 되는 식품으로 여러 처방에 약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구기자를 오래 꾸준히 섭취하면 늙지 않고 추위와 더위를 이겨내며 장수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청나라의 서태후가 하루도 거르지 않고 먹었다는 식품이 바로 구기자입니다. 그만큼 구기자는 오래전부터 건강식품으로 많은 사랑을 받은 식품입니다. 구기자 효능 [구기자차 효능].. 2021. 5. 12.
오가피 효능 [오가피순 열매 효능] 오가피란? 오가피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오갈피나무의 뿌리나 줄기 및 가지의 껍질을 말합니다. 오가피나무의 특징은 바깥 면은 황갈색 또는 어두운 회색으로 군데군데 가시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낙엽활엽 관목으로 높이는 3~4m 정도며 뿌리 근처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사방을 뻗치고 줄기에 털이 없고 가시가 드문드문 하나씩 나 있습니다. 오가피보다 잎의 주름이 더 많거나 가시가 더 많은 것은 가시오갈피로 분류합니다. 오가피는 맵고 쓴 맛이 특징이며 탕이나 차로 주로 끓여먹거나, 약재로 두루 이용되는 나무입니다. 특히 오가피는 부작용 없이 혈압을 낮춰주는 식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우리 몸을 이롭게 하는 여러 가지 성분이 많아 제2의 인삼(산삼)이라고 불릴 만큼 그 효능이 뛰어남을 인정받고 .. 2021. 5. 12.
작약 효능 [작약꽃 효능 작약 꽃말] 작약 [작약꽃] 작약은 꽃이 아름다워 일찍이부터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되어 왔습니다. 사실 예로부터 민간이나 한방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온 약재 중 하나인데요. 작약은 혈을 보호하는 효능이 있어서 주로 보약, 강장 약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작약의 뿌리 부분은 약으로 많이 쓴다고 합니다. 작약 종류는 굉장히 다양하지만 보통 약으로 사용되는되는 종류는 홑꽃잎의 작약을 많이 사용하며 한방에서는 작약의 뿌리를 약재로 사용할 때 적작약과 백작약을 구분해서 사용합니다. 작약의 뿌리의 껍질을 벗겨서 쓰는 경우 그 빛깔이 희다 보니 생약명을 "백작약"이라 부르며 껍질을 벗기지 않은 것은 "피 작약" 껍질이 붉으면 "적작약"으로 부릅니다. 백작약은 혈을 보충하고 간을 보호해주며, 적작약은 소염제 및 해열제로 많이 사용됩니다.. 2021. 5. 12.
야관문 효능 [야관문주 효능] 야관문(비수리) 야관문은 콩과(싸리 속) 식물로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뿌리를 포함하여 모든 부분을 약초로 이용할 수 있는 식물입니다. 흔하디 흔한 풀로 전국의 산야에서 쉽게 채취가 가능한 식물로 크기는 약 50cm~1m 정도이며, 8~9월에 황백색 꽃이 피며, 10월에는 암갈색의 열매가 열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야관문은 주로 우리나라, 일본, 대만 등 아시아권 및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등에 분포하고 있는 여러해살이 식물입니다. 야관문(夜關門)의 정확한 해석은 '밤의 문을 닫음'이라는 뜻으로 폐문초(閉門草)나 야폐초(夜閉草)로 불리기도 합니다. 대다수는 야관문이라는 이름이 정력에 좋다는 효능 때문에 지어진 것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야관문이라는 이름은 밤에 잎이 서로 붙어 있는 생태습성.. 2021.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