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6 산초기름의 효능, 부작용, 먹는법 산초란? 산초는 동의보감에서 진초(秦椒)라고 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 등지에 많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산초는 조피, 재피, 지피, 천초라고도 부르는 운향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산이나 들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며 키는 다 자라면 약 3m 정도며 산초 꽃은 8월~9월에 핍니다. 산초의 녹갈색의 열매가 다 익으면 껍질이 터져 열매 속의 까만 씨앗이 밖으로 튀어나오는데 이 씨는 기름을 짜서 섭취하기도 하며 빻아서 향미료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산초의 산초열매와 산초 껍질은 향신료와 약으로 많이 쓰이며 씨앗과 잎, 나무줄기 등도 여러 용도로 사용되는 등 버릴 것이 없는 유용한 식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추어탕에 많이 사용되는데 산초를 빻아서 가루로 만들어 추어탕에 넣어 미꾸라지의 비린 맛.. 2021. 6. 8. 어성초 효능 [어성초 비누 & 샴푸 효능] 어성초란? 어성초 효능은? 어성초란? 어성초는 쌍떡잎식물 후추 목 삼백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성초의 이름 명칭부터 잎에서 생선 비린내가 난다고 하여 붙여진 만큼 특유의 비린 향과 맛이 있어 생으로 먹기는 힘들어 주로 가공하여 섭취하는 식물입니다. 어성초를 주재료로 하는 어성초 발효액, 어성초 차, 어성초를 이용해 만든 어성초 주 등으로 만들어 많이 섭취하며 피부와 두피에도 이로운 작용을 하여 화장품과 샴푸, 비누 등의 원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그럼 어성초의 효능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어성초 효능 7가지 체내 염증을 제거합니다. 어성초는 항염작용으로 체내 유해한 여러 염증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어 염증 제거에 많이 사용되기도 하며 미세먼지와 황사 등으로 인해 유입되는 여러 .. 2021. 6. 8. 망개나무뿌리 토복령 효능 및 먹는방법 망개나무뿌리(토복령) 효능 망개나무란? 망개나무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교목으로 멧대싸리 또는 살배나무로 불리는 나무입니다. 망개나무는 청미래덩굴로도 불리며 원산지가 남쪽 지방이며 다양한 산에서 자라는 식물로 달달하면서도 텁텁한 맛이 나는 망개나무 뿌리는 해독작용이 매우 뛰어난 약재입니다. 한자로는 토복령으로 불리며 수은, 카드뮴, 니켈 등 체내에 쌓여 있는 중금속 등을 해독시켜 주는 작용을 하는데요. 특히 수은의 해독작용에는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망개나무뿌리(토복령)는 그늘에 말려 차로 끓여 먹었으며 망개나무 뿌리는 관절염, 화상, 종기, 간염 등 우리 몸에 좋은 여러 가지 효능이 있어 다양한 약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망개나무뿌리(토복령) 효능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자세히.. 2021. 6. 8. 우슬뿌리 효능 및 먹는 법 4가지 우슬 뿌리 효능 ◆ 동의보감 - 우슬 뿌리 효능 우슬은 한습으로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과 남자의 음위증과 노인의 요실금을 치료하며 골수를 보충하고 음기를 잘 통하게 한다.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게 하며 월경을 통하게 하고 유산을 시키며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관절염을 개선합니다. 관절염 개선은 우슬 뿌리 효능 중 대표적인 효능으로 관절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습니다. 염증 치료에 도움이 되는 성분인 사포닌과 칼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사포닌 성분은 염증 치료에 뛰어난 효능이 있어 관절염과 골다공증 및 허리 통증 완화에 효능이 있습니다. 정력을 증진시킵니다. 우슬 뿌리는 예로부터 정력증진에 사용하였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동의보감에서도 그 내용을 찾아.. 2021. 6. 8. 옻나무 효능 [옻나무 알레르기 부작용] 옻나무란? 여름철 피부를 노출하고 산에 오르다 보면 풀들에 피부가 긁히게 되어 생기는 풀독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그중 제일 악질이 바로 '옻'이라 할 정도로 옻독이 올라 굉장히 가려워 병원으로 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옻은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옻나무의 수액을 말합니다. 옻나무는 한반도에는 없었으나 중국과 히말라야에 서식하는 옻나무를 들여온 것이 야생화가 되어 한반도에 퍼지게 되어 한반도에서도 옻나무를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옻나무의 잎은 9~11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에 털이 조금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옻나무 꽃은 5~6월경에 피며 녹황색 단성화로, 수꽃은 각각 약 5개의 꽃받침과 조각과 꽃잎 및 수술이 달려있으며 암꽃은 3~5개.. 2021. 6. 8. 천마 효능 [자연산 천마차의 효능] 천마란? 천마는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에 속하는 식물로 우리나라와 중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해발 500m 이상의 연평균 기온 11도를 유지하는 고랭지 기후에서만 자라는 식물로 암 예방에 아주 좋은 식재료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천마는 동의보감에 모든 허약과 어지러운 증상을 낫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천 가지 질병을 치료한다 하여 '하늘의 보물', '하늘에서 내려준 명약'으로 불리기도 하며 중국 의학서 오보 본초에 의하면 귀신과 같은 효험이 있어 '신초'라고 불립니다. 천마는 기생하며 성장하는 기생식물인데요. 산지의 숲 속에 부식질이 많은 식물이나 버섯의 균사에 기생하여 자라는 성장 특성으로 인해 예로부터 구하기 어려운 매우 귀한 약재로 인정받으며 사용되어 왔.. 2021. 6. 7. 보스웰리아 효능 및 먹는방법 추천 보스웰리아란? 관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절 건강기능식품을 많이 찾곤 하는데요. 많은 관절 식품 중에서도 관절에 특히나 효과가 있다는 보스웰리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수요가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보스웰리아란 우리말로는 유향이라 부르며 예로부터 동서양 모두 약재로 많이 사용되어왔습니다. 보스웰리아는 무려 5천 년 이상 사용되어온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향으로 아프리카, 인동 등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유향나무'로 불리는 관목의 추출물입니다. 유향은 올리브과에 속하는 나무로 수액을 건조해서 만드는데 유향나무줄기나 가지에서 나오는 수지는 말랑말랑하고 동그란 방울이 만들어지는데 광택이 나며 백색의 반투명체가 됩니다. 이 보스웰리아 추출물은 식용 및 약용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예로부터 '사막의 진주'라 .. 2021. 6. 7. 울금 효능 [울금 가루 먹는법] 울금(鬱金)이란? 울금과 강황의 차이 울금과 강황의 차이는 전문가가 아닌 이상 구별하기 힘든데요. 본초학 교과서에 의하면 강황은 Curcuma longa(강황)의 뿌리줄기(근경), 울금은 Curcuma aromatica(울금)의 덩이뿌리(괴근)이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강황은 인도가 원산지이지만 울금은 우리나라가 원산지로 Curcuma longa(강황)도 울금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강황은 뿌리줄기(근경), 울금은 덩이뿌리(괴근)로 사용 부위가 다르며 강황은 둥글지만 울금은 뾰족한 성상이 특징입니다. 울금은 강황의 덩이뿌리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 것으로 방추형이며 길이가 2.5~4.5cm, 지름은 1~1.5cm 정도로 바깥면은 회갈색 혹은 회황색으로 미세한 주름이 있으며 단면은 등황색.. 2021. 6. 6. 영지버섯 효능 및 먹는 방법 [달이는 법] 영지버섯이란? 영지(靈芝) 버섯은 광택이 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모양은 부채꼴 모양을 하고 있는 버섯으로 '건강, 삶, 영원한 젊음의 여신'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버섯입니다. 영지는 구멍장이 버섯과 에 속하며, 불로초(不老草)로 불리며 흔히 영지버섯이라고 하지만, 영지의 지(芝)는 버섯을 뜻해서 영지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영지버섯의 크기는 지름 5~15cm, 두께 1~1.5cm로 동심 상의 고리 홈이 있으며 살은 2층짜리 코르크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층은 흰색, 아래층은 노란색으로 딱딱한 껍질에 싸인 어린 버섯 자루는 길이 3~15cm 지름 1~2cm의 붉은 갈색이며 제로(zero)는 나무 주름이 있는 소양성 뇌병증으로서 뿌리 부분이나 그루터기에서 자랍니다. 영지버섯은 아시아 각국에서 많이 재배하고.. 2021. 6. 4.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41 다음